리스트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항목만 골라서 출력할 때, filter 함수를 활용할 수 있다.
먼저 0보다 큰 항목인지를 검토하는 함수를 정의해준다.
def pnum(data):
return data>0
함수에 1이라는 인수를 대입하면 True라고 출력되지만,
[1, 2, 0, 5]라는 리스트를 대입하면 오류가 발생한다.
pnum(1) #결과값: True
pnum # TypeError : '>' not supported between instances of 'list' and 'int'
filter 함수를 활용하면 해결할 수 있다.
필터함수는 filter(함수명, 인수) 형태로 활용 예는 아래.
list(filter(pnum, [4,6,-5,-7,0]))
# 결과: [4, 6]
'분석하는 마케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 정규표현식 re.match() (0) | 2019.11.04 |
---|---|
Python - n개의 리스트의 항목을 같은 인덱스끼리 묶기 (0) | 2019.11.04 |
Python - enumerate() (0) | 2019.11.04 |
Python - 아스키코드 문자 <-> 숫자 변환 (0) | 2019.11.04 |
Python - 리스트 내포(List Comprehension) (0) | 2019.1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