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젠가는 심리학33

집단상담의 공통적 치료요인 1. 정보나누기 (정보 교환) : 치료자뿐 아니라, 다른 집단 성원으로부터 충고와 가이드를 받을 수 있다. 2. 희망고취 :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는 다른 구성원을 관찰하며, 좋아질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진다. 3. 보편성 : 나 아닌 다른 사람도 비슷한 문제, 걱정, 사건을 가지고 있다고 안심한다. 4. 이타성 : 나도 남을 도울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진다. 5. 대인관계기술 : 타인과의 상호작용 통해 대인관계, 사회기술, 민감성, 갈등해소 등을 배울 수 있다. 6. 모방행동 : 다른 구성원들의 대처/반응을 보고 들으면서, 보다 유용한 행동을 모델링 할 수 있다. 2019. 4. 11.
토큰경제(Token economy)의 좋은 점 1. 강화 즉시성 : 바람직한 행동 후 즉시 강화물을 제공할 수 있어 강화물의 효과가 더 강하다. 2. 강화물의 가치가 유지 : 토큰은 특성상 많은 양을 제공받아도 그 가치가 유지되기 때문에, 강화물을 계속 제공하더라도 강화의 효과가 유지된다. 3. 행동조성에 적합 : 한번에 완전하게 형성되지 않는 목표 행동까지의 과정을 작게 세분화하여, 단계별로 토큰을 제공하여 강화함으로써 행동을 조성하는 데에 탁월하다. 2019. 4. 10.
침묵의 의미 상담에서 내담자가 침묵하는 이유! 1. 내담자가 상담 초기에는 관계형성 과정에서 두려움을 느끼고 있다. 2. 상담 중 논의된 내용에 관하여 내담자가 이에 대해 스스로 평가하며 정리하고 있다. 3.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불만이 있어 저항을 하고 있다. 4. 내담자가 먼저 이야기를 한 후, 상담자의 해석이나 반응을 기다리고 있다. 5. 내담자가 상담 중 강한 정서표현을 한 후, 피로로 인해 휴식하고 있다. 6. 내담자가 먼저 꺼낼 이야기 주제가 없어, 상담자가 결정해주기를 기다리고 있다.(무슨 말을 해야할지 모른다.) 7. 내담자가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는데, 적절한 표현이 없거나 언어화가 어려워 고민하고 있다. 2019. 4. 10.
DBT, 변증법적 심리치료의 요소 DBT, 변증법적 심리치료의 요소 Mindfulness Emotional Regulation Distress tolerance Interpersonal effectiveness 2019. 4. 10.
평가면접의 특징 1. 상호작용 : 상담자와 내담자 각자가 과정에 기여하고, 서로서로의 응답에 영향을 준다. 하지만 목적이 있기에 마냥 편안한 상호작용은 아니다. 2. 대화와 검사 사이 : 대화보다 목적적이고 조직적이지만, 검사보다는 덜 공식적이고 덜 표준화되어 있다. 3. 라포 : 라포가 형성되면, 후속질문/대면/면접자의 주장이 가능해진다. 4. 경청 : 경청을 통해 내담자가 전하는 정보와 감정을 판단할 수 있다. 5. 참조틀 준비 : 내담자에 관한 가능한 모든 기록을 주의깊게 검토해야 한다. 면접을 의뢰한 사람이 준 정보는 무엇이고, 어떤 정보를 요청했는지 고려한다. 2019. 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