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심리사9

임상심리 - mmpi 코드타입 정리하기(1) 척도 1의 코드타입은 주로, '신체증상 호소' '스트레스에 취약' '불안'code 12/21- 핵심특징: 신체적 불편감과 심리적 불편감을 함께 호소한다. 소화기/불면증/현기증/통증에 과민반응한다. - 방어기제: 억압, 신체화- 정서와 분위기: 우울, 불안, 불행감, 불쾌감, 불만족감, 피로감, 쇠약감, 짜증, 안절부절못함, 신경과민.- 관계: 타인의 평가에 예민하다. 수동-의존적 관계를 형성한다. 관계에서 분노를 표현하지 않고 억압하고 내향화한다. code 13/31- 핵심특징: 심리적인 문제를 신체 증상으로 전환하여, 신체적 고통/불편감을 극적으로 호소한다. 심리적 동요는 적은듯 보인다. 그래서 기능을 잘 유지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효율이 저하되어 있다.- 방어기제: 억압, 부인, 합리화, 투사- 성격과.. 2019. 4. 8.
방어기제의 정의와 억압/부인 방어기제 - 최초의 정신분석적 정의 : 자아가 원초아의 욕구와 초자아의 요구 사이에서 조정을 하는 과정에서, 원초아의 욕구가 강해지면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이 때 이러한 불안으로부터 자아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책략이 방어기제이다. - 현대의 정의 : 심리적인 안정감을 유지하기 위한 심리적 기제로, 불편감/불안감/죄책감 등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다. 억압과 부인 - 억압: 충동, 욕구, 불유쾌한 생각/경험을 의식 밖으로 몰아내 무의식에 머무르게 하는 것 - 부인: 불쾌한 현실, 인정하고 싶지 않은 일, 생각, 정서, 욕구 등에 대해 인정하지 않고 회피함으로써 심리적으로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 2019. 4. 8.
MMPI2 비전형 정신병리 척도 F(p) 비전형 정신병리 척도 - 규준집단과 외래 정신과환자집단 모두에서 비전형적인 반응 - 정신과 환자들도 반응하지 않는 문항들의 모임 - 본 척도에서 높은 반응이 나타난다면 부정왜곡(faking-bad)일 가능성이 높음 - F척도 상승의 의미를 명확히 할 수 있다. 1) 실제로 심각한 정신병리가 있기 때문에 F척도가 상승하였는지 2) 정신병리를 왜곡해서 과장함으로써 F척도가 상승하였는지 2019. 4. 3.
심리검사의 기능 1. 내담자가 표면적으로 드러내지 않는 문제를 확인하고 진단 2. 문제가 되는 증상이나 행동의 심각성 파악 3. 내담자 문제의 감별진단을 위해 4. 특정한 영역에서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5. 내담자를 보다 정교하게 이해하기 위해 2019.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