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뭘해도 안늦은 나이 - 129

상담자가 내담자로부터 동의를 받아야 하는 내용들 상담자가 내담자로부터 동의를 받아야 하는 내용들 1. 치료에 대한 일반적 목표 2. 내담자에 대한 상담심리사의 책임 3. 내담자의 책임 4. 비밀보장의 한계 5. 관계를 규정할 법적/윤리적 기준 6. 상담심리사의 자격과 배경 7. 치료비 8. 내담자로 가질 수 있는 서비스의 대략적인 기간 9. 치료의 이익 10. 치료의 위험 11. 내담자의 사례가 상담심리사의 동료나 감독자와 토의될 가능성 2019. 4. 10.
정신상태검사의 일반 개요 1. 일반적 상태 (외모, 행동, 태도) 2. 의식 상태 (각성, 초각성, 둔감) 3. 주의력과 집중력 4. 말 (명확성, 목표지향성, 언어결함) 5. 지남력 (사람, 장소, 시간) 6. 기분과 정동 7. 사고 내용 (집착하고 있는 사고, 강박관념, 망상) 8. 사고 형태 9. 추상적 사고 능력 10. 지각 (환각 여부) 11. 기억 (즉시, 최근, 오래된 기억) 12. 지적 기능 13. 통찰력과 판단력, 병식 2019. 4. 10.
Beck의 인지적 오류 헷갈리는 것 비교 내 기준 헷갈리는 인지적 오류 간단비교! 사실상 하나의 예시를 가지고도 여러 개의 오류로 해석될 수 있을 듯함. 1. 임의적 추론 - 증거가 없는데도 결론을 내림 (요새 애인한테 연락이 전처럼 바로바로 답장이 안와... 다른 여자가 생겼거나, 내가 싫어져서 나를 피하는 것 같다) 2. 선택적 추상화 - 부분만 보고 전체를 판단내림 (지난주에 제출한 기획안 가지고 차장님이 무척 화가나서 오늘 아침에 나를 불렀다. 차장님이 날 싫어하는게 분명하다) 3. 과잉일반화 - 한두가지 사례로 결론내리고 관련이 적은 상황에도 적용함 (최근 한 2번의 소개팅에서 모두 애프터를 받지 못했다.. 난 이성에게 매력이 없는 사람이다) 4. 과장/의미확대 - 어떤 대상이 가진 특성을 실제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과대평가함 (몇 번.. 2019. 4. 9.
mmpi 6(pa) description 피해의식 Low self-esteem Mistrust/doubt/suspicion Projection/hostility Delusional thinking 예민성 Vigilant (to protect oneself) Emotionally/interpersonally vulnerable 순진성 Easily-hurt Moral Rigid Inflexible 2019. 4. 9.
위기상담 Q. 전화로 위기상담을 보고받았을 때 심리학자가 할 일 (1) 내담자를 진정시킨다. (2) 내담자가 더 위험해지지 않도록 위험한 대상/상황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떨어지도록 한다. (3) 의료적 개입이 필요하거나, 증거를 즉시 확보하기 위해 의료기관을 방문하도록 한다. (4) 전문 기관과 연계할 수 있음을 알리고 내담자가 필요시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5) 가족, 친구들이 가까이에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만든다. 2019. 4. 9.